2025/07/11 2

장애인 가족을 위한 재난 대비 자급자족 법

장애인과 함께 지내는 가정은 재난이 발생했을 경우, 일반 가정보다 2배 이상 생존의 위협을 받습니다. 그 이유는, 단지 신체적 이동의 어려움에 국한되어 있지 않습니다. 정보 접근, 대피 과정, 의사소통, 구조 우선순위 등 모든 생존 과정에서 차별과 사각지대를 경험하기 때문입니다. 행정안전부의 '2023 재난 취약계층 대응 현황 보고서에 의하면, '장애인 가정 중 생존키트 구성률은 전체의 11%에 불과하며, 재난 정보 접근 어려움과 비상구 이동 불가 등의 사유로 구조 도착 전 사망률이 평균보다 2.8배 높다'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UNDRR(유엔재난위험경감기구)은 '모든 국가가 재난 대응 계획에 장애 친화형 키트를 포함하지 않으면 생존 불평등이 심화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휠체어 ..

재난 대비 불안 심리 자급자족 통제법

보통 재난을 떠올렸을 때, 구조물의 붕괴나 정전 및 단수와 같은 단순한 물리적 충격을 떠올립니다. 그러나, 심리적 충격이야말로 재난의 2차 파괴자가 될 수 있습니다. 불안, 공포, 무력감, 분노 등은 인간의 판단력과 행동력을 마비시키고 생존을 방해합니다. WHO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의 공동보고서(2023)는 '재난 초기 30분 내의 심리 반응이 전체 생존 행동을 좌우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훈련된 자가 안정 루틴이 존재할 경우, 공황 증상 발생률이 약 68% 감소한다'고 분석합니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 고립된 1인 가구의 경우 재난 시, 심리적 붕괴는 구조 이전의 생존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기적으로는 PTSD, 우울증, 사회 단절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그러므로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