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난 상황에서 생존을 좌우하는 것은 단지 물이나 음식 같은 자원뿐만이 아닙니다. 즉각적인 위험을 인지하고 반응할 수 있는 정보 접근성도 생존에서 매우 중요한 변수입니다. 특히 청력 약화자 또는 청각 장애인을 포함한 가족이나 공동체 구성원이 있는 경우, 소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기존의 재난 경보 시스템은 그들에게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지금까지 국내외 많은 재난 사례를 살펴보면, 경보음이 울리더라도 청력을 잃었거나 약화된 사람들은 그 경고를 인지하지 못해 뒤늦게 대피하거나 전혀 반응하지 못했던 사례들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장애가 아니라, 정보 접근을 위한 감각 설계가 일원화되어 있는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감각 대체 기반 경보 시스템’을..